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109

1. 앞이 보이지 않을때 비행기는 어떻게 착륙할까 (CAT2 CAT3 배경) 평소, 앞이 보이지 않는 안개가 자욱한 날 조종사들이 어떻게 착륙을 할지 생각해 보신분들이 있으신가요? 조종사들은 어떻게 공항을 눈으로 확인하고 착륙을 할까요? 아무것도 보이지 않는 날에는 그냥 착륙을 포기해야만 할까요? 날이 흐리거나 비나 눈이 엄청나게 쏟아지는 날에도 대부분 착륙을 잘 했던 기억만 가지고 있으실 겁니다. 오늘은 앞이 보이지 않을 때 조종사들이 어떻게 착륙하는지에 대해 간단한 배경을 소개해 드리고자 합니다. 또한, 종사자로서 조금 자세한 실무적인(?) 이야기도 앞으로 포스팅 할 예정입니다. (제가 공부하기 위함입니다) 평소에 한치 앞도 보이지 않는 안개가 낀 아침 운전을 할때 어떻게 하시나요? 안개등과 라이트를 켜고, 천천히, 네비게이션을 확인하면서 운전을 하게 됩니다. 이처럼 공항에서.. 2022. 3. 4.
아시아나항공 무안허브(HUB)거점공항 항공사 현실성 있는 이야기 인가? 항공관련 내용으로 저의 블로그를 찾아주시는 여러분들 안녕하세요 요즘, 대선이 다가오면서 '항공업'과 관련된 내용이 후보자들 입에 오르고 있습니다. 최근 여당의 대통령 후보께서 "'무안공항'을 아시아나항공의 허브공항으로 만들겠다"고 밝혔습니다. 또한 여러 지역의 정치인들은 '화답'을 했는데요. 현실적으로 가능한 이야기인지 한번 살펴보려고 합니다. 종사자로서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우리나라는 하나의 허브공항을 강하게 육성해야 한다"고 생각하고 "동남권 신공항인 가덕도 공항을 추진하는 마당에 무안공앙을 허브공항으로 삼는 것은 포퓰리즘에 불과"하다고 생각합니다. 인천공항과 무안공항 비교 인천국제공항은 우리나라의 관문공항입니다. (미국에서는 '관문공항'의 의미가 살짝 다르지만, 지방의 gateway airport.. 2022. 3. 2.
#4 ICAO DOC4444 ATC phraseologies 살펴보기 2 (Minimum FUEL, Transfer of Control and/or Frequency Change ~) Minimum Fuel (12.3.1.3) "MINIMUM FUEL" minimum fuel은 emergency fuel과는 차이가 있습니다. 가능한 공항에 착륙이 지연이 없을시 가능한 연료양만을 가지고 있을때 ATC에 통보해야 합니다. minimum fuel은 법정 탑재 연료를 기준으로 하기 때문에 minimum fuel 상황이 다가 온다면 지체없이 ATC에 통보하고 목적공항까지의 비행시간을 ATC에 통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ATC는 항적 상황에 따라서 우선순위를 부여할 수 도 있고 아닐수도 있습니다. (우선순위가 필요할 경우에는 "EMERGENCY FEUL"로 ATC에 통보해야합니다. FAA에 나와있는 용어 설명은 다음과 같습니다 "Use of the term “minimum fuel” indica.. 2022. 3. 1.
#3 ICAO DOC4444 ATC phraseologies 살펴보기 1 (Level change reports and rates) 저는 EPTA를 준비하면서 ATC에 대해서 최선을 다하지만, 최소한의 시간으로 최대한의 효율을 뽑기 위해 열심히 공부하고 있습니다. 저의 목표는 항상 4등급입니다. 지난번에는 EPTA의 시험개요에 대해서 한번 살펴보았는데요, "대충 이러한 시험이구나, 어느정도 수준이면 4급 정도는 획득할 수 있겠구나"감(?)을 잡아보았습니다. 이전 포스팅은 아래의 링크를 참고해주세요. 2022.02.19 - [EPTA 도전기] - #1 국제선 운항에 꼭 필요한 EPTA! (자격 갱신이 다가온다...) 2022.02.20 - [EPTA 도전기] - #2 EPTA 시험의 각 PART 및 Task의 문제 및 구성 분석(조종사 기준) #2 EPTA 시험의 각 PART 및 Task의 문제 및 구성 분석(조종사 기준) 안녕하세요 .. 2022. 2. 24.
종사자가 바라보는 행간 공정위 대한항공-아시아나항공 합병 승인 내용! 안녕하세요 22년 2월 21일 드디어 우리나라 공정거래위원회(공정위)에서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의 합병을 승인했습니다. "조건부"승인으로 말이죠. 지난번에 공정위의 승인이 미뤄지는 이유에 대해서 저만의 생각을 전달해드린적이 있는데요. 결국 차일 피일 미루다가 오늘 조건부 승인을 내렸습니다. 2022.02.12 - [항공사고News/항공사소식] - 아시아나 대한항공 합병 공정위 결론이 늦어지는 진짜이유 아시아나 대한항공 합병 공정위 결론이 늦어지는 진짜이유 2022년 2월 9일은 아시아나항공과 대한항공의 합병과 관련한 우리나라 공정위의 결론이 나는 날이었습니다. 2월 10일 오늘, 과연 결론은 어떻게 났을까요? 결론은 또 다음주에 나올 예정입니다 계 sky-clear-c.tistory.com 오늘 발표된 .. 2022. 2. 22.
#2 EPTA 시험의 각 PART 및 Task의 문제 및 구성 분석(조종사 기준) 안녕하세요 구독자 여러분 지난번 포스팅에서 EPTA에 시험에 도전한다는 포스팅을 올렸는데요. 오늘은 실질적으로 PART와 Task가 어떻게 구성되어 있고문제가 출제 되고 있는지 여러분께 소개하고자 합니다. 저도 새로운 EPTA를 공부하고 시험을 준비하는 입장이기 때문에 완벽하게 설명드리기는 힘들더라도, EPTA 시작하시는 초심자의 마음으로 쉽게 설명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EPTA가 2개의 PART와 5개의 Task로 구성되어 있다고 지난번에 설명드렸습니다. 우선, PART1은 2개의 Task A, B로, PART2는 Task A, B, C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PART 1 Task A : Correct Or Full Read Back PART1의 Task A는 간단한 ATC readback을 평가합니다.. 2022. 2. 20.
#1 국제선 운항에 꼭 필요한 EPTA! (자격 갱신이 다가온다...) 오늘은 항공종사자(조종사, 관제사) 중에서 국제선 업무를 위해서 필수로 지참해야하는 자격증 'EPTA'에 대해서 이야기 해보려고 합니다. 조종사와 관제사 사이에서 교신을 할때 보통 '영어'가 통용됩니다. 그 나라 내에서는 내국어도 가능합니다. 우리나라에서는 '한국말'과 '영어'가 관제를 위해서 사용되는 언어인 것이죠. 전세계 각국에서 공통적으로 사용되는 관제용어는 '영어'로 하게 됩니다. 우리나라 조종사가 중국 관제사와 교신할 때는 중국어나 한국어로 할 수 없기 때문에 영어로 서로 의도를 주고 받게 됩니다. 그래서! 이 '영어'에 대한 자격이 없는 항공종사자들은 국제선 업무를 할 수 없습니다. 이 자격을 EPTA(English Proficiency Test for Aviation)라고 부릅니다. 예전에는.. 2022. 2. 19.
아시아나 대한항공 합병 공정위 결론이 늦어지는 진짜이유 2022년 2월 9일은 아시아나항공과 대한항공의 합병과 관련한 우리나라 공정위의 결론이 나는 날이었습니다. 2월 10일 오늘, 과연 결론은 어떻게 났을까요? 결론은 또 다음주에 나올 예정입니다 계속해서 공정거래위원회의 결론이 미뤄지는 형국입니다. 언론에서는 공정위에서는 독과점 우려로 인한 소비자 편익이 감소할 것이라는 명목아래 '조건부 승인'을 예상합니다. 이유는 분명한데 공정위의 결론이 차일피일 미뤄지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1. 항공업은 해외에서도 기업결합 심사를 받아야 한다. 첫번째로 우리나라에서 아시아나항공과 대한항공의 합병을 승인하더라도 항공운송업은 해외 기업결합심사를 통과해야합니다. 우리나라의 기업이 합병을 하는데 왜 해외 당국의 승인을 또 받아야할까요? 저도 처음에는 잘 이해가 되지 않았는데,.. 2022. 2. 12.
에어라인 조종사가 바라보는 "with 코로나" 그리고 앞으로의 항공여행 안녕하세요? 오랜만에 다시 블로그에 포스팅을 올리게 됩니다. 드디어, 이제, 본격적으로 위드코로나(with Covid-19)시대를 맞이하는 것 같습니다. 코로나19가 처음 발생했을 때는 코로나19의 종식을 학수고대했는데, 코로나라는 녀석과 함께 살아갈 수 밖에 없다는 사실을 인정하게 되는 펜데믹 기간이었습니다. 아직, 위드코로나를 말하기에는 오미크론의 폭발적인 확산세가 무섭긴합니다. 우리나라 21년 2월 9일 기준 4만 9천여명의 코로나 확진자가 나왔는데요 정말 어마어마한 수치입니다. 한편으로 이렇게 역대급으로 많은 확진자가 나오고 있는데, 언론에서는 "위드코로나" "리오프닝"(Re Opening)과 같은 말들을 먼저하는 것을 보면 정말 많은 사람들이 탈코로나를 염원하고 있다는 사실도 새삼 깨닫게 됩니다.. 2022. 2. 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