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개
안개는 기본적으로 저고도 구름과 다르다(안개는 50ft 미만 고도에서 발생)
조종사에게 안개는 익숙하지 않은 지역으로 비행할 때 매우 위험하다.
안개의 발생조건
- 대기중의 수증기가 다량으로 함유되고, 대기가 안정한상태(기온역전)
- 공기가 이슬점 이하로 냉각
- 약한 바람 < 5kt
- 대기중에서 응결을 촉진시키는 응결핵 존재
- 수증기의 공급과 냉각
안개의 소산조건
- 지표 부근의 강한 바람 공기의 가열
- 지표 부근의 기온역전 해소
- 차고 밀도가 큰 공기의 유입, 찬공기의 유입 > 공기의 이동 증발
안개의 종류
종류 | 내용 |
안개 FOG | 시정 1km 이하, 수증기가 응결하여 발생한 무수한 수적의 부유상태 |
박무 MIST | 시정 1km ~ 5km, 안개보다 작은 수적으로 상대습도 80% 이상 |
연무 HAZE | 시정 1km ~ 5km, 습도가 안개나 박무에 비해 현저히 낮다. 상대습도 80% 미만 |
생성원인에 따른 안개
- 복사무(Radiation fog) : 바람없이 잔잔하고 맑은 밤 지면의 복사냉각 작용
- 이류무(Advection fog) : 습윤하고 온난한 공기가 한랭한 육지나 수면으로 이동해 하층부터 냉각되어 안개 생성
https://www.youtube.com/watch?v=-KQ9GShgs-s&feature=youtu.be
- 활승무(Upslope fog) : 습윤공기가 산의 경사면을 불어 올라갈 때 단열냉각으로 발생하는 안개
- 전선무(Frontal fog) : 전선근처, 강수중 또는 지면 도달 후 증발시 포화된 공기가 한랭한 지면 통과시 과포화로 발생
- 증기무(Steam fog) : 따뜻한 수면위를 한랭한 공기가 이동시 수면에서 수증기가 냉각되어 발생 (가을,겨울)
- 빙무(Ice fog) : 온도가 매우 낮고(< 0'C) 바람이 없을 때 발생
'Aviation Weather' 카테고리의 다른 글
[1] 대기의 구성 (0) | 2020.04.03 |
---|
댓글